나의 공부기록

[AWS] 29. Load Balancing & ELB(Elastic Load Balancer) 본문

자격증/AWS

[AWS] 29. Load Balancing & ELB(Elastic Load Balancer)

나의 개발자 2025. 4. 8. 15:11

Load Balancing

  • 여러 EC2 인스턴스로 트래픽을 분산해 주는 역할
  • 하나의 접근 지점(DNS 주소)만 노출됨 ➡️ 사용자 입장에서는 단일 서버처럼 보임
  • 장애 처리, 트래픽 분산, 성능 향상, 보안(SSL) 처리 등을 담당

Elastic Load Balancer(ELB)의 장점

  • 완전 관리형 서비스
    ➡️ 유지보수, 업데이트, 고가용성 보장
  • AWS 서비스와 통합
    • EC2, ASG, ECS
    • ACM(SSL 인증서), CloudWatch, WAF, Route 53 등...
  • Health Check(헬스 체크) 기능
    ➡️ 인스턴스 상태 확인 후, 비정상 인스턴스에는 트래픽 전달❌
  • SSL 종료(SSL Termination)
    ➡️ HTTPS 요청을 Load Balancer에서 처리
    • ELB가 SSL 인증서를 받아 처리(ACM 연동)

✅ Health Checks

  • ELB가 인스턴스가 정상인지 감지하는 기능
  • 특정 경로(Ex: /health)와 포트(Ex: 4567)로 주기적으로 체크
  • 응답이 200❌ ➡️ 비정상 상태로 간주하고 트래픽 전달 중지

 

✅ AWS Load Balancer 종류

종류 특징 프로토콜 사용 시기
CLB
(Classic Load Balancer)
구세대(v1), 기능 제한 HTTP, HTTPS, TCP, SSL 레거시 호환 필요 시만 사용
ALB
(Application Load Balancer)
L7 계층(HTTP 레벨) HTTP,HTTPS, WebSocket 웹 앱, 경로 기반 라우팅, 마이크로서비스
NLB
(Network Load Balancer)
L4 계층(고성능) TCP, TLS, UDP 초고속 성능, 실시간 서비스
GWLB
(Gateway Load Balancer)
L3 계층, 보안 어플라이언스용 IP 서드파티 보안 어플라이언스 사용 시

 

내부 vs 외부 ELB

  • 내부(Internal ELB) : VPC 내에서만 접근 가능
  • 외부(Public ELB) : 인터넷에서 접근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