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linux
- AWS 자격증
- EC2 인스턴스
- docker
- GNS3
- aws SAA-c03
- aws saa
- aws iam
- ALB
- NAT
- AWS
- aws cloud shcool 8
- aws cloud
- CentOS
- SAA-C03
- load balancer
- Firewall
- vmware
- vyos
- EC2
- DNS
- 네트워크
- tftp
- FTP
- ELB
- SAA
- Troubleshooting
- IAM
- Ebs
- aws cloud school
- Today
- Total
목록Troubleshooting (7)
나의 공부기록

✅시간 동기화 문제 해결 방법문제 파악날짜가 3/5인데 srv1과 srv2의 시간이 2/28로 되어있어서 발생하는 문제➡️ VM을 suspend 하면 발생할 수 있음 해결 방안NTP(Network Time Protocol) : 시간을 동기화하는 프로토콜# ntp 패키지 설치[root@srv1-250305 ~]# yum install -y ntp# time.google.com으로 시간 동기화[root@srv1-250305 ~]# ntpdate -u time.google.com# 동기화 확인[root@srv1-250305 ~]# dateWed Mar 5 01:52:53 EST 2025 문제 해결시간이 동기화된 것을 확인 가능

문제 3 Tier 구조에서 wordpress를 WAS Server에 넣은 후, 웹브라우저에서 http://10.10.2.80/wp로 WAS의 wordpress에 접속하려고 시도Web 서버에서 Reverse Proxy를 설정해 주었는데, wordpress를 찾아갈 수 없음 문제 파악현재 wordpress를 3 tier로 나누는 방법을 배우지 않았고, tier를 나누기 위해서는 wordpress를 구성하고 있는 php 언어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함검색을 통해 나눌 수 있기는 하지만, 현재 상황에서는 불가능 해결 방안wordpress에 한에서 2 tier로 구축wordpress는 Web Server에 구축해야함추후 httpd와 php를 분리해서 구축하는 방법을 배우면 다시 해보도록 하자..ㅎ(❁´◡`❁)

문제DB Server에서 nslookup server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해당 Server의 IP가 아닌 host-connection IP를 통해 외부로 나가서 DNS 정보를 가져오지 못하는 문제 발생문제 파악Router의 PAT 설정 시, 범위를 잘못 설정해 줘서 host-connection을 통해 외부로 나감Wildcard Mask로 설정해야 하는데, Subnet Mask로 설정 해결 방안 access-list 범위 재설정

문제 상황LVM으로 LV의 용량을 27G로 확장하기 위해 lvextend 명령어 실행 중, Insufficent free space : 2561 extents neede, but only 2559 available 오류 발생 원인 파악실제 디스크인 VG에서 사용 가능한 용량인 Free PE /Size보다 많은 용량을 할당하려고 해서 발생한 문제LV의 크기를 27G로 설정하면 VG 내에서 27G의 공간 필요VG는 PE(Physical Extent) 단위로 공간을 관리하므로 요청된 27G는 PE 크기로 나뉘어 필요한 PE개수를 계산디스크 크기가 정확히 27G인 경우, VG의 실제 사용 가능한 용량은 LVM 메타데이터와 시스템 용도로 인해 27G보다 작을 수 있음 👉 실제 디스크 용량보다 많은 용량을 할당해..

실습환경Tools : VMware, GNS3, xShell 문제DNS 영역 파일 생성 후, named 서버 재시작 중에 발생한 오류DNS 영역 파일에서 문제 발생파악1. named 서버 상태 확인systemctl status named 2. DNS 영역 파일 오타 검수DNS 영역 파일을 설정할 때, 최상위 도메인을 설정해주지 않아서 발생하는 문제였음aws.com으로 접근했을 때, 매칭될 최상위 도메인을 설정해줘야 함 해결[root@dns ~]#vi /var/named/aws.com.db$TTL 3H@ SOA @ root ( 0 ; serial ..

실습환경Tools : VMware, GNS3, xShell 문제DNS 서버 구축 실습 중, DNS 서버 설정 완료 후 named 패키지 재시작을 위해 systemctl restart named 명령어 실행 중, 오류 발생 파악Client ➡️ DNS 서버 설정 확인nslookup servercat resolv.confClient ➡️ DNS 통신 여부 확인ping 10.10.3.53DNS 서버의 named 상태 확인named 패키지 상태가 inactive(dead) 상태 확인systemctl status named 해결방법systemctl restart named를 통해 죽어있던 named 서버를 활성화해 주면 정상 작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