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공부기록

[AWS] 28. High Availability(고가용성) & Scalability(확장성) 본문

자격증/AWS

[AWS] 28. High Availability(고가용성) & Scalability(확장성)

나의 개발자 2025. 4. 8. 09:24

Scalability(확장성)

  • 더 많은 트래픽/요청을 처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확장하는 능력

01. Vertical Scalability(수직 확장)

  • 인스턴스의 사이즈를 키우는 방식
    Ex) t2.micro ➡️ t2.large 업그레이드
  • 일반적으로 단일 시스템(단일 노드)에서 사용
  • RDS, ElasticCache
  • 제한 있음 ➡️ 물리적 한계(H/W 성능 한계)

02. Horizontal Scalability(수평 확장) 

  • 인스턴스 를 늘리는 방식
  • 여러 대의 서버에 트래픽을 분산
  • 분산 시스템에 적합 ➡️ Ex) 웹 서버
  • AWS에서 수월하게 구현
    ➡️ EC2, Auto Scaling, Load Balancer

High Availability(고가용성)

  • 장애가 발생해도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노력
  • 다중 AZ(Availability Zone)에 인프라를 구성하여 장애 시에도 복구 가능
    ➡️ Ex) 뉴욕 데이터 센터 장애 시, 샌프란시스코에서 계속 서비스 제공
  • RDS Multi-AZ ➡️ 패시브 고가용성(장애 시 자동 Failover)
  • EC2 Auto Scaling + Load Balancer ➡️ 액티브 고가용성(여러 AZ에서 동시 운영)

 

✅ Scalability & High Availability

개념 설명 예시
Vertical Scaling 인스턴스 성능 업그레이드  t2.micro ➡️ t2.large, RDS
Horizontal Scaling 인스턴스 수 증가 Auto Scaling, EC2 클러스터
High Availability 시스템 장애 시에도 동작 지속 RDS Multi-AZ, Multi-AZ Auto Scaling
EC2에서 수평 확장 ASG + Load Balancer 구성 Web App 서버 확장
EC2에서 고가용성 여러 AZ에 인스턴스 배포 Multi-AZ 설정 필수